본문 바로가기

Jop Study17

유해인자 취급 및 관리대장 작성 생각보다 어렵네요 https://www.labs.go.kr/contents/siteMain.do 국가연구안전정보시스템 www.labs.go.kr 2021. 11. 2.
SNMP OID 계산 방법 CryptEncodeObjectExOID를 포함한 대부분의 암호화 개체를 디코딩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OID의 경우 인코딩 및 디코딩이 매우 간단하므로 수동으로 수행 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첫 번째 숫자 1.2는 약간 특별한 방법으로 인코딩됩니다. 예를 들어 xy는 40 * x + y로 인코딩됩니다. 1.2의 경우 40 * 1 + 2 = 42 또는 0x2a입니다. 모든 다음 문자는 가장 높은 비트 (0으로 시작하는 경우 비트 번호 7)가 0이면 바이트가 마지막이고 비트가 마지막이 아닌 경우 1 인 7 비트 숫자로 해석됩니다. 예를 들어 840은 0x348입니다. 이것을 인코딩하려면 마지막에 2 바이트를 사용해야하며 0x48로 저장됩니다. 이전 버전에서는 0x48에서 추가 비트로 0x3으로 저.. 2021. 2. 9.
RS232 TTL, RS232 Voltage Level 정의 RS232 Voltage Level 정의 블럭도 TTL Level : 0V ~ 3.3V, 0V ~ 5V RS232 Level : -15V ~ +15V MAX3243 DATASHEET 정의 내용 Input voltage range (Driver) : 0V ~ +6V Input voltage range (Receiver) : -25V ~ +25V output voltage range (Driver) : -13.2V ~ +13.2V output voltage range (Receiver) : -0.3V ~ Vcc + 0.3V 2021. 1. 15.
core의 용어 투자율(Permeability) 자성재료의 특징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용어로 재료의 특성, 장의세기, 주파수 그리고 온도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갖으며 단위는 사용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자성재료내 유기된 자속밀도와 이를 일으키는 자화력(자계)의 비로 정의된다. 자속(B : Wb, ψ) N극에서 S극으로 향하여 작용하는 자력의 모양을 자력선이라 하며, 이 자력선의 모임을 자속이라 한다. 자속밀도(Gauss, : Wb/㎡) 자력선에 수직방향의 단위면적을 통과하는 자력선의 총수도체에 전류 i를 흘리면 도체(l)에 걸리는 힘 F는 F(N)=i(A)×B×l(M), B=F/i×l[Am][T] 자계(H : AT/m, Oe) 자력선에 존재하는 영역은 자력이 작용하는 것이므로 이 공간을 자장이라 한다. 자계내의 한곳에.. 2020. 11. 13.
Core 재질에 따른 특성 2020. 11. 13.
홀드 업 시간에 필요한 커패시턴스 계산식 2020. 11. 9.
LUMIPOWER 설계 관련 정보 공유 사이트 lumipower.co.kr/SMPS_design_program지식을 나 메뉴 누고 컨텐츠를 출판하며 즐 거움을 함께합니다. 2020. 11. 4.
트렌스 구조 설계 1. 보빈 선정 보빈에는 그림과 같이 종형 (Vertical usage), 횡형 (Horizontal usage)이 있으므로 (코어 사이즈에 따라서는 둘중 하나만 있는 경우도 있음), 높이와 실장 면적을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또한, 핀수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른쪽 표는 수치 산출 편에서 산출한 권선수입니다. 이러한 권선수를 감을 수 있을 만큼의 핀수가 있는 것을 선택합니다. 코어 JFE MB3 EER28.5A 또는 호환품 Lp 249μH Np 30 turns Ns 6 turns Nd 8 turns 2. 유효 권선틀 확인 다음으로 보빈 사양을 바탕으로 유효 권선틀을 확인합니다. 적색 화살표로 표시한 그림의 사선 부분이 실제로 감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보빈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용하는 보.. 2020. 11. 3.
PowerEsim SMPS 설계 프로그램(무료) www.poweresim.com/index2.jsp?Reload_index= PowerEsim www.poweresim.com SMPS 설계 관련 Tool 입니다. 1 : 입력 전압 2 : 출력 전압 3 : Power Supply Application 4 : Design 회로 유형들을 선택하는 장면입니다. 제일위의 RCC Flyback 회로를 선택하였습니다. 각 소자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면 값이 표시가 됩니다.^^ 출처: https://answerofgod.tistory.com/688 [The Answer's Engineering Blog] 2020. 11. 3.
인덕터 선정하기 1) 인덕턴스의 계산 먼저 하기 식에 따라 인덕턴스를 계산합니다. 2) 인덕터의 최대 전류 계산 다음으로 하기 식에 따라 인덕터의 최대 전류를 계산합니다. 식과 전류 파형에서 알 수 있듯이, ILPEAK는 ΔIL의 1/2을 IOUT에 더한 값입니다. 계산한 인덕턴스와 인덕터의 최대 전류를 바탕으로, 근사치의 인덕턴스로 포화 전류가 최대 전류 이상인 인덕터를 선택합니다. 하기는 선정 예입니다. 인덕터의 선정 예 조건 : VIN = 12V, VOUT = 3.3V, IOUT = 2A, r = 0.3, fSW = 380kHz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포화 전류가 2.3A 이상인 10μH의 인덕터가 출발점이 됩니다. 출발점이란, 이 계산이 절대적이지 않고, 단락 및 과도 상태를 고려하여 변경해야 할 가능성이 있기 .. 2020. 10. 6.
인덕터 설계 참조 사이트 : 인덕터 설계 결과 도출 lumipower.co.kr/inductordesign 2020. 10. 5.
공진주파스 구하는 공식 2020. 10. 5.
PFC 설계 및 제작 u 입력전압 : AC 90~260 (60Hz) u 출력전압 : 390V (±5%) u 출력전력 : 100W u 스위칭 주파수 : 소자의 동작속도, 스위칭 손실을 감안하여 100[KHz]정도 로 선정하고 스위칭 소자는 MOSFET SPP11N60S5로 결정. 또한 스위칭 다이오드는 역 회복 특성이 좋은 1N4934로 결정. u 정격 계산 u Threshold limited current = 225uA u The maximum overvoltage = 225uA X 1.95MΩ + 5V = 443.75V (C결정) u Vout = 200uA X 1.95MΩ = 390V u Bios supply design u P = V^2 / R = 265^2 /150 X 10^3 = 0.47W u Vcc = Vout / .. 2020. 9. 1.
홀드 업 시간에 필요한 커패시턴스 계산식 외부 커패시터 (Cbc) 값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계산 예 -제품 : TUHS10F05- 입력 전압 : 100Vac- 출력 전력 : 4W- 소요 유지 시간 : 200ms-주위 온도 : -20ºC 1) TUHS10F05의 조정 된 출력 전압 (Vh)에 대한 효율 (η) 및 최소 입력 전압은 테스트 데이터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η : 테스트 데이터에서 P.4의 효율 (부하 전류 별), 100Vac, 0.8Aout, 효율은 80.6 %입니다. Vh : 테스트 데이터에서 P.21의 조정 된 출력 전압에 대한 최소 입력 전압, 50 % out, -20ºC, 조정 된 출력 전압의 최소 입력 전압은 38Vac입니다. 2) Cbc 값은 위의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2020. 8. 13.
Microchip Download MPLAB X IPE 사용 방법 MPLAB X IPE 설치 방법 준비사항 (1). 노트북 / PC : 1식 (2). MPLAB IDE/ IPE Software File : Wep Downlaod (3). PG164140 PROGRAMMER MCU PICKIT 4 : 1 EA (4). SIP6 Pickit3 ICSP Cable : 1 EA 프로그램 다운 방법 (1). 다운로드 홈페이지 : https://microchipdeveloper.com/ipe:installation (2). Windows 다운로드 클릭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다. 프로그램 설치 방법 (1). Set-up 파일을 실행한다. (2). 설치 창이 나오면 아래 순서대로 설치한다. < 응용 프로그램.. 2020. 8. 7.
[Study]PCB Artwork 설계 기술 홈페이지 화면 입니다. PCB Artwork 설계의 모든 것. 설계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링크 걸어놨습니다. http://pcb.pe.kr/ 2016. 7. 12.
[Study] Space Vector PWM 제어 원리 유도전동기의 동작원리를 기본 설명회전자계 이론에서 보듯이 3상 인버터의 출력은 하나의 합성 벡터를 만들죠. 이 합성 벡터가 전동기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크를 발생다.3상 인버터는 6개의 스위칭 소자를 ON/OFF시켜서 만들 수 있는 출력벡터의 종류가 6가지이다. 원래는 8가지이지만 위의 3개만 ON된 경우와 아래의 3개만 ON된 경우는 출력을 0으로 하므로 제로벡터라고 하여 제외된다. 전동기의 속도나 토크를 순간순간 제어하려면 0에서부터 정격 출력전압까지 다양한 방향과 크기의 전압벡터를 만들 수 있어야 하는데, 이렇게 6가지의 벡터만으로는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가 없죠.벡터의 크기는 PWM으로 구현이 가능하지만, 벡터의 방향은 6가지밖에 안나오거든요.이 벡터를 X-Y 평면에 펼쳐놓으면 정육각형이.. 2016.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