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보빈 선정
보빈에는 그림과 같이 종형 (Vertical usage), 횡형 (Horizontal usage)이 있으므로 (코어 사이즈에 따라서는 둘중 하나만 있는 경우도 있음), 높이와 실장 면적을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또한, 핀수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른쪽 표는 수치 산출 편에서 산출한 권선수입니다. 이러한 권선수를 감을 수 있을 만큼의 핀수가 있는 것을 선택합니다.
코어 | JFE MB3 EER28.5A 또는 호환품 |
Lp | 249μH |
Np | 30 turns |
Ns | 6 turns |
Nd | 8 turns |
2. 유효 권선틀 확인
다음으로 보빈 사양을 바탕으로 유효 권선틀을 확인합니다. 적색 화살표로 표시한 그림의 사선 부분이 실제로 감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보빈에 따라 달라지므로, 사용하는 보빈의 도면을 반드시 확인하여 주십시오.
3. 권선 구성 결정
권선 구성은 트랜스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여기에서는 2가지 구성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심플한 구성>
- 층수가 적다 → 비용면에서 메리트가 있다
- 결합도가 약하다 → 서지 전압 상승, 손실 증가
- 보빈 핀수 → 적다
<샌드위치 권선 구성>
- 층수가 많다 → 각 권선의 두께에 주의
- 결합도가 우수하다 → 서지 전압 경감, 손실 감소
- 보빈 핀수 → 많아진다
4. 연면 거리와 배리어 테이프
5. 선재의 선정
6. 결선도, 층 구성, 권선 사양
7. 트랜스 사양 결정
반응형
'Jop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홀드 업 시간에 필요한 커패시턴스 계산식 (0) | 2020.11.09 |
---|---|
LUMIPOWER 설계 관련 정보 공유 사이트 (0) | 2020.11.04 |
PowerEsim SMPS 설계 프로그램(무료) (0) | 2020.11.03 |
인덕터 선정하기 (0) | 2020.10.06 |
인덕터 설계 참조 사이트 : 인덕터 설계 결과 도출 (0) | 2020.10.05 |